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출판창업
- 출판기획
- 스토리작가학교
- 1인출판
- 스토리작가소정
- 스토리디자인닷컴
- 스토리디자이너소정
- 전자책제작
- 글쓰기수업
- 비즈니스모델캔바스
- 스토리작가학교출판창업반
- 스토리작가학교출판강의
- 출판사
- 1인출판창업
- 독립출판
- 글쓰기와감정
- 책출판
- 인쇄자동견적
- 경쟁력있는글쓰기
- 책만들기
- 스토리디자인
- 스토리디자이너
- 나만의책
- 책발행
- 책쓰기
- 출판
- 글쓰기
- 작가되는법
- 책쓰는법
- 출판기획서
- Today
- Total
목록스토리디자인 (4)
스토리작가학교
스토리디자인 창작법에서는 이야기를 구성하는 인물과 사건, 배경에 대한 소재를 데이터화합니다. 소재를 생성하고 변형하고, 조합하고, 재조합하는 과정을 반복합니다. 인물과 사건, 배경 이것들을 섞으면 이야기는 만들어집니다. 따라서 각각의 소재들을 생성하고 정리하기 위해 우리는 스스로에게 끊임없이 질문해야 합니다. 매사 상상하고, 문제를 깊이 관찰하고, 새롭게 생각하고, 깊이 생각하고, 변형하고 적용하는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사고를 자극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우선 소재를 분류하는 방법을 아래와 같이 제안합니다. 스토리디자인 데이터 분류 1) 공감을 위한 정보 생성(인물 데이터) 공감이란 상대의 마음, 감정을 이해하는 것에서 시작됩니다. 공감을 바탕으로 정보를 형성한다는 것은 어떤 인물이 어떤 감정을 느끼고 ..
스토리가 힘이 있는 이유는 감정을 다루기 때문입니다. 마음을 다룬다는 것은 공감과 정서를 조절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스토리디자인 창작법의 특징 중 하나는 정보를 다루는 기본 개념이 디지털화되어 있다는 것입니다. 디지털식 스토리창작법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뒤에서 다시 다루겠지만, 특히 감정에 대한 정보 역시 각각의 데이터를 소장하여 다루는데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함을 의미합니다. 우리가 삶에서 느낄 수 있는 다양한 감정을 어느 정도 경험하고 마주하셨나요? 좋다, 싫다 정도에서 벗어나 다양한 표현을 학습해 보는 것은 감정을 전달하는 스토리텔러로써 매우 유의미한 작업이 될 것입니다. 저는 강의에서 가장 대표적인 감정들, 희로애락애오욕을 바탕으로 생각을 확장하도록 제안합니다. https://namu.wiki/..
스토리디자이너(storydesigner), 뭐하는 사람들인겨? 1) 개요 스토리디자인이란 스토리를 만드는 전체의 과정을 말합니다. 스토리(story)와 디자인(design)의 합성어로 스토리를 기획하고 만들고 유통하기까지의 모든 과정을 아우르는 말이라고 보면 좋습니다. 예전엔 위키백과사전에 아주 잘 정리되어 있어서 설명할 때 종종 인용하곤 했었는데 이제 검색해 보니 자료가 사라지고 없더군요. 스토리디자인에 대한 명확한 정의는 아직 공표되지 않은 상태입니다만 2014년부터 스토리디자인, 스토리디자이너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는 저는 학생들에게 원천 스토리를 창작해 내는 디자인의 전 과정이 '스토리디자인'이며 그 주체를 '스토리디자이너'라 칭했습니다. -지금은 사라졌지만 에전에 인용하였던 설명은 다음과 같습니..
기획이 중요하다고 이야기하는 이유 중 하나는 잘 기획되고 계획했을 때 비용과 손실을 줄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누구에게 어떻게 써서 전달할 것인지를 모두 정리하고, 상세한 계획을 세워 움직이지 않으면, 이를테면 한참 편집하다가 내용의 일부가 변경된다거나 하면 그야말로 모든 과정이 돈이며(또 돈 돈 돈하고 있네요. 죄송합니다.) 작업자들은 짜증이 납니다. 아이디어를 책으로 또는 다른 콘텐츠 등으로 만드는 일은 많은 계산이 필요하고, 대충의 기획에서 시작하여 섬세하게 전 과정에 대한 예측이 필요합니다. 혹시 모를 위험이나 사고를 예측하고 사고에 대비하는 것도 포함됩니다. 대학원 시절 동화공작 애니메이션 제작사를 견학한 일이 있습니다. 그때 빼곡히 책상에 앉아 그림을 그리던 작화가들의 모습이 꽤 인상적이었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