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스토리작가학교출판강의
- 스토리작가소정
- 1인출판
- 책발행
- 나만의책
- 출판창업
- 책쓰는법
- 인쇄자동견적
- 1인출판창업
- 글쓰기
- 글쓰기와감정
- 비즈니스모델캔바스
- 독립출판
- 글쓰기수업
- 작가되는법
- 책쓰기
- 스토리디자인
- 스토리작가학교
- 스토리작가학교출판창업반
- 스토리디자이너
- 출판사
- 전자책제작
- 출판
- 책만들기
- 출판기획
- 경쟁력있는글쓰기
- 스토리디자이너소정
- 출판기획서
- 스토리디자인닷컴
- 책출판
- Today
- Total
목록스토리디자이너소정 (4)
스토리작가학교

1인 출판 창업을 위한 강의를 진행할 때 공유하는 이런저런 사이트들을 한 곳에 모아보려고 해요. 본인에게 필요한 사이트가 무엇인지 보시고 결정하세요. ^^ 우선, 출판사 창업을 위해 필요한 절차에 방문하게 될 곳입니다. 1. 출판사 등록 전 : 출판사 이름 정하기 독창적이고 멋진 이름을 정하셨어도, 혹시 국내에 이미 출판사 혹은 인쇄소로 등록이 되어있는지 검색해 보세요. 그리고. 상표권 조회도 하시고요. ^^ 만일 누구도 짓지 않았던 이름이라면 상품권 등록을 하시는 것도 추천합니다. 1) 출판사/인쇄사 검색 시스템 https://book.mcst.go.kr/html/main.php

만들고 싶은 책이 있다면 관련된 키워드를 나열해 보세요. 우리의 주요 타깃 독자는 어떤 사람들일까요? 출판기획서까지 섬세하게 작성하셨다면, 내 책을 찾을 주요 독자들이 누구일지 대충 감이 잡힐 것입니다. 우선, 딱 한 명의 독자를 구체화하세요. 어떤 이가 나의 가장 착한 독자일지 분석하세요. 그 딱 한 명의 독자는 같은 성향과 조건의 다른 이들을 대표합니다. 나의 독자들이 사는 곳, 성별, 교육 수준, 소득 수준, 직업, 정치적 성향이나 인종, 가족 관계, 결혼 상태 등 개인적 기준이 도출됩니다. 또는 어떤 필요와 목적에 따라 모인 사람들인지 정리가 됩니다. 그들과 공감할 수 있는 부분들, 이를테면 육아, 취업, 시험 준비, 사회적 위치에서의 문제들이 더 명확해질 수 있습니다. 이렇게 타깃 독자가 설정되..
기획이 중요하다고 이야기하는 이유 중 하나는 잘 기획되고 계획했을 때 비용과 손실을 줄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누구에게 어떻게 써서 전달할 것인지를 모두 정리하고, 상세한 계획을 세워 움직이지 않으면, 이를테면 한참 편집하다가 내용의 일부가 변경된다거나 하면 그야말로 모든 과정이 돈이며(또 돈 돈 돈하고 있네요. 죄송합니다.) 작업자들은 짜증이 납니다. 아이디어를 책으로 또는 다른 콘텐츠 등으로 만드는 일은 많은 계산이 필요하고, 대충의 기획에서 시작하여 섬세하게 전 과정에 대한 예측이 필요합니다. 혹시 모를 위험이나 사고를 예측하고 사고에 대비하는 것도 포함됩니다. 대학원 시절 동화공작 애니메이션 제작사를 견학한 일이 있습니다. 그때 빼곡히 책상에 앉아 그림을 그리던 작화가들의 모습이 꽤 인상적이었는데..
결국 직접 출판하고자 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여러 가지 이유를 줄줄이 나열하신다 한들, 결론은 돈이 최고라고 말해요. (학생들에게요.) 누군가를 위해 하겠다 등등 그럴싸한 이유는 접어두고 머니머니해도 머니가 최고라고 합니다. 작가가 머니를 추구하면 상업적인 작품이 될 거라며 말하는 사람도 있겠지만, 적어도 출판사 대표는, 머니를 위해 일해야 합니다. 너무 돈돈돈 한다고 비난하지 마세요. 돈을 벌지 못하는 대표가 제일 나쁜 겁니다. 하하하. (제가 그랬습니다만 ^^;;;) 그렇다면 출판사 대표가 갖추어야 할 가장 중요한 역량은 무엇일까요? 저는 '기획력'이라 말합니다. 돈돈돈을 따르라는 것은 아니지만 결국 좋은 작품 잘된 기획이 돈을 벌여들입니다. 창작을 비롯하여 기능적인 업무들, 교정 교열이라던가, 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