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경쟁력있는글쓰기
- 글쓰기와감정
- 글쓰기
- 스토리작가학교
- 스토리디자이너소정
- 출판기획서
- 출판사
- 스토리작가소정
- 출판창업
- 출판
- 스토리디자인
- 1인출판창업
- 1인출판
- 스토리디자인닷컴
- 출판기획
- 인쇄자동견적
- 책쓰는법
- 나만의책
- 책쓰기
- 전자책제작
- 스토리작가학교출판강의
- 독립출판
- 책출판
- 책발행
- 작가되는법
- 책만들기
- 스토리작가학교출판창업반
- 스토리디자이너
- 비즈니스모델캔바스
- 글쓰기수업
- Today
- Total
목록글쓰기 (3)
스토리작가학교
스토리디자인 창작법에서는 이야기를 구성하는 인물과 사건, 배경에 대한 소재를 데이터화합니다. 소재를 생성하고 변형하고, 조합하고, 재조합하는 과정을 반복합니다. 인물과 사건, 배경 이것들을 섞으면 이야기는 만들어집니다. 따라서 각각의 소재들을 생성하고 정리하기 위해 우리는 스스로에게 끊임없이 질문해야 합니다. 매사 상상하고, 문제를 깊이 관찰하고, 새롭게 생각하고, 깊이 생각하고, 변형하고 적용하는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사고를 자극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우선 소재를 분류하는 방법을 아래와 같이 제안합니다. 스토리디자인 데이터 분류 1) 공감을 위한 정보 생성(인물 데이터) 공감이란 상대의 마음, 감정을 이해하는 것에서 시작됩니다. 공감을 바탕으로 정보를 형성한다는 것은 어떤 인물이 어떤 감정을 느끼고 ..
지난 포스팅에서는 스토리디자이너가 무슨 일을 하는지 이야기 나누었습니다. 동화작가부터 영화를 제작하고 싶은 감독까지 다양한 사람들이 스토리디자인에 관심을 가지고 찾아옵니다. 우리는 모두 좋은 작품을 만들기 위해 모였습니다. 글쓰기강좌를 기대하고 오는 분도 간혹 계십니다만 결국 이야기를 만들고자 하는 욕구는 같습니다. 그렇다면 좋은 이야기를 만들기 위해 무엇을 준비하면 좋을까요? 1) 스토리를 만들기 위한 토양; 많이 읽고 많이 보고 많이 들으세요. 모든 학습이 그러하듯 많은 이야기들을 접했던 경험은 큰 도움이 됩니다. 그만큼 스토리 제작과 관련된 이야기 감각이 발달해 독자로써, 스토리 수용자로서 센스가 높아집니다. 독서도 좋고 영화, 드라마를 포함한 영상물도 좋습니다. 때론 짧고 굵게 메시지를 전하는 방..
기획이 중요하다고 이야기하는 이유 중 하나는 잘 기획되고 계획했을 때 비용과 손실을 줄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누구에게 어떻게 써서 전달할 것인지를 모두 정리하고, 상세한 계획을 세워 움직이지 않으면, 이를테면 한참 편집하다가 내용의 일부가 변경된다거나 하면 그야말로 모든 과정이 돈이며(또 돈 돈 돈하고 있네요. 죄송합니다.) 작업자들은 짜증이 납니다. 아이디어를 책으로 또는 다른 콘텐츠 등으로 만드는 일은 많은 계산이 필요하고, 대충의 기획에서 시작하여 섬세하게 전 과정에 대한 예측이 필요합니다. 혹시 모를 위험이나 사고를 예측하고 사고에 대비하는 것도 포함됩니다. 대학원 시절 동화공작 애니메이션 제작사를 견학한 일이 있습니다. 그때 빼곡히 책상에 앉아 그림을 그리던 작화가들의 모습이 꽤 인상적이었는데..